양양의 역사

[부록] 양양의 연표(年表)

페이지 정보

조회 90회 작성일 2024-02-28 11:18

본문

 

선사시대

· 50~20만 년 전 구석기시대 (손양면 도화리 유적) · B.C. 6000년 신석기시대 (손양면 오산리 유적) · B.C. 2000~1500년 청동기시대 (서면 범부리 고인돌 외4곳, 양양읍 포월리 유적 외 6곳) · B.C. 300~A.D 300년 철기시대 (손양면 가평리 유적 외 3곳)


상고시대

· B.C. 127년 전 성읍국가형태인 예국(濊國)이 형성· A.D.  30년 자치국가 동예(東濊) 성립


삼국시대 (B.C 109 ~ A.D. 935)

· 313년 고구려의 익현현(翼峴縣) 또는 이문현(伊文顯)이라 칭함.

· 671년 통일신라 문무왕(文武王) 11년 의상대사 낙산사 창건.

· 689년 통일신라 신문왕(神文王) 9년 원효대사 영혈사 창건.

·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(景德王) 16년 익령현(翼嶺縣) 으로 개칭.  · 804년 통일신라 애장왕(哀莊王) 5년 억성사[億聖寺 : 사림사 선림원(沙林寺 禪林院)]의 범종(梵鐘) 조성.

· 821년 통일신라 헌덕왕(憲德王)  13년 조계종 종조인 도의국사(道義國師) 진전사 주석.


고려시대 (918~1392)

· 995년 성종(成宗) 14년 처음 10도를 정할 때 양양은 삭방도(朔方道)에 속함.

· 1007년 목종(穆宗) 10년 10월 익령현에 348간의 성(城)을 축성.

· 1009년 목종 12년 혜명(惠明)대사와 대주(大珠)대사가 사찰을 창건하고 두 스님의 이름에서 한자씩 따서 명주사(明珠寺)라 함.

· 1010년 현종(顯宗) 초에 전국을 5도(五道) 양계(兩界)로 할 때 양양은 동계(東界)에 속함.

· 1018년 현종 9년에 명주(溟州)의 동산현(洞山縣)을 익령현(翼嶺縣)에 내속시키고 익령현에는 현령을 둠.

· 1221년 고종(高宗) 8년 요나라 잔당인 거란병의 침략을 잘 방어한 공으로 읍호(邑號)를 양주(襄州)로 개칭하고 방어사(防禦使)가 파견.

· 1253년 고종 40년 10월 몽골군에 의해 양주가 함락되고 낙산사가 소실.

· 1254년 고종 41년에 양주의 수령을 현령(縣令)으로 강등하여 파견.

· 1257년 고종 44년 몽골군에 항복한 사건으로 읍호를 덕령(德寧)으로 격하하고 감무(監務)를 파견함.

· 1260년 원종(元宗)  원년(元年)에 양주로 읍호를 복귀(復歸)하고 지양주사(知襄州事)를 두고 별호(別號)를 양산(襄山)이라 부름.  · 1260년 동해신사(東海神祠)가 있어 중사(中祀)의 예(禮)로 치제(致祭) 함.

· 1263년 원종 4년에 명주도(溟州道)를 강릉도(江陵道)로, 동주도(東州道)를 교주도(交州道)로 할 때, 양양지역은 강릉도에 속함.

· 1330년 충숙왕(忠肅王)  17년 강릉도존무사(江陵道存撫使) 안축(安軸)의 명으로 구교리에 양양향교를 재건. 


※ 인종(仁宗) 5년(1127)의 입학조서(入學詔書)에 따라 1260년 이전에 향교 창건.


조선시대 (1392~1897)

· 1397년 태조(太祖) 6년 왕의 외친(外親) 본관이라 하여 양주부(襄州府)로 승격.

· 1413년 태종(太宗) 13년 양주부를 양주도호부(襄州都護府)로 개칭.

· 1416년 태종 16년에 양주(襄州)를 양양(襄陽)으로 개칭.

· 1466년 세조(世祖) 윤3월 12일에 거둥(擧動), 낙산사를 중창케 하고, 강릉 연곡에서 농가경연을 열어 양양 관노 동구리(同仇里)를 포상하고, 악공(樂工)의 예(禮)로 어가(御駕)를 따르도록 함. 

· 1490년 성종(成宗) 21년에 강릉 안인포의 수군만호영(水軍萬戶營)을 양양 조산리로 옮기고 대포영(大浦營)이라 칭함.

· 1529년 양양인 이봉(李芃)이 정3품 품계로 대포수군만호로 임명된 사실이 2011년 3월21일 양양의 전주이씨 문중 선묘 이장 중 묘지석(墓地石)이 출토되면서 밝혀짐. 

· 1561년 허억봉은 양양관노로 10대 중반에 대금연주에 능함을 인정받아 악공(樂工)으로 불려가 장악원(掌樂院) 전악(典樂)을 수십 년간 역임.

· 1596년 선조 29년 소솔령(所率嶺)이라 부른 것을 오색령(五色嶺)으로 개칭.

· 1618년 광해군 10년에 역난(逆亂)에 연루되어 읍호(邑號) 양양부(襄陽府)가 양양현(襄 陽縣)으로 강등(降等).

· 1623년 인조 원년에 반정(反正)으로 읍호가 양양부(襄陽府)로 회복.

· 1628년 인조 6년에 역난(逆亂)으로 재차 읍호가 현으로 강등.

· 1628년 부사 조위한(趙緯韓)과 노경복(盧景福)등이 조인벽(趙仁壁)을 모신 동명서원(東溟書院)을 창건.

· 1637년 인조 15년에 다시 읍호가 부로 회복.

· 1666년 강릉에서 강상죄(綱常罪)가 발생, 양양의 첫 자를 따서 도호(道號)를 원양도(原襄道)로 개칭.

· 1668년 현종 10년 도호(道號)를 다시 강원도로 회복.

· 1682년 숙종 8년에 양양부사 최상익(崔商翼)이 양양읍 구교리(舊校里)의 향교를 임천리(林泉里)로 이건.

· 1683년 원주에서 강상죄(綱常罪)가 발생, 도호(道號)를 강양도(江襄道)로 개칭.

· 1688년 숙종 14년 11월에 역적(逆賊) 때문에 읍호가 부에서 현으로 강등.

· 1697년 숙종 23년에 양양도호부로 회복.

· 1702년 숙종 28년에 도호를 다시 강원도로 회복.

· 1709년 양양부사 이해조(李海朝)는 김창흡(金昌翕)과 현산삼십영(峴山三十詠) 시(詩)를 읊었는데 일명 양양별곡이라 함.

· 1727년 유경시柳敬時) 부사의 선정으로 백성들이 낙산사 이화정(梨花亭) 앞 오동나무로 양양금(襄陽琴)을 제작 기증.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14호로 지정

· 1722년 경종 2년에 부사 채팽윤(蔡彭胤)이 동해신묘(東海神廟)를 중창.

· 1783년 정조 7년 2월에 역적(逆賊)을 이경래(李京來)를 체포하고 읍호를 현으로 강등.

· 1792년 정조 16년 1월에 양양의 읍호를 도호부(都護府)로 회복.

· 1800년 정조 24년에 암행어사 권준(權晙)의 상소와 강원도관찰사 남공철(南公轍)의 계문(啓聞)으로 동해신묘를 중수.

· 1895년 고종 32년에 지방제도 개편으로 양양부는 강릉부 소속의 양양군이 되고 12개 면을 관할.


대한제국 (1897~1910)

· 1901년 10월 5일 하디 선교사가 감리교회 설립.

· 1906년 한서 남궁억(漢西 南宮檍) 선생이 현산학교 설립.

· 1908년 양양군수 최종락은 일제 통감부 훈령으로 동해신묘 훼철(毁撤).


일제강점기 (1910~1945)

· 1913년 조선총독부 관보에 오색령 도로를 3등 도로로 고시.

· 1914년 12개 면을 7개면으로 통폐합.

· 1919년 4월 4일~9일까지 6일간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국적으로 가장 치열한 항일운동이었음.  · 1919년 5월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토성면(土城面)과 죽왕면(竹旺面)이 양양군에 편입.

· 1921년 4월 17일 최문식 베드로 신부가 양양천주교회 설립.

· 1930년 4월 18일 조침령 도로를 기공.

· 1936년 병자년 포락 때 사망한 고인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현상공원에 위도비(慰悼碑) 를 세움.

· 1937년 도천면 속초리가 속초면으로 됨.

· 1937년 12월 1일 안변 ~ 양양간 동해북부선철도 개통.

· 1941년 양양철광개발.

· 1942년 10월 1일 속초면이 속초읍으로 승격.


대한민국 (1945년 이후)

· 1945년 8·15해방과 더불어 38°선 이남인 현남면과 현북면, 서면의 남쪽 일부가 강릉군에 편입됨.

· 1948년 사림사(억성사)지에서 출토된 범종은 1949년에 월정사로 이관.

· 1950년 10월 1일 북진으로 양양수복.

· 1951년 4월에 재 북진하여 양양군을 수복, 7월 4일부터 군정통치(軍政統治) · 1953년 낙산사의 원통보전·범종각 등을 1군단장‘이형근’의 도움으로 복원.

·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조인.

· 1954년 9월 13일 9·13수해로 인적 물적 피해 발생.

·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조치법에 따라 현남면은 명주군, 현북면과 서면 일부는 양양군에 환원.

· 1959년 9. 12 ~ 9. 14일에 발생한 태풍 사라로 인적 물적 피해발생.  

· 196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속초읍이 속초시로, 죽왕면·토성면이 고성군에, 현남면이본군에 환원.

· 1972년 1월 6일 강현면 상복리의 권금성·비룡폭포·피골이 속초시에 편입.

· 1973년 서면 명개리는 홍천군에, 상왕도리 일부는 양양면에 각각 편입.

· 1979년 5월 1일 양양면이 양양읍으로 승격.

· 1983년 2월 15일 강현면 상복리 일부가 속초시에 편입.

· 1984년 국립수산과학원 산하 양양어류종묘배양장 설치(2009년 냉수성어류연구 센터로 개칭) · 1989년 1월 1일 손양면 가평리·송현리 일부가 양양읍 송암리에 편입.  · 1992년 11월 23일 양양읍 구교리가 구교1·2리로 분할, 강현면 전진1리가 전진1리·주청리로 분할.

· 1994년 5월 9일 포월 농공단지 준공.

· 1996년 1월 9일 서면 장승2리에 장승3리가 편입.

· 1997년 12월 15일 현남면 신진리가 신설.

· 1999년 1월 9일 현남면 인구1리가 두창·시변리에 편입.

· 2000년 동해신묘지(東海神廟址)가 강원도기념물 제73호로 지정.  · 2002년 4월 3일 양양국제공항 개항.

· 2002년 8. 31 ~ 9. 1일 태풍루사로 대규모 인명 및 물적 피해 발생.  · 2005년 4월 5일 대형화재로 보물 제479호인 낙산사 동종이 용해.

· 2006년 9월 양양양수발전소 준공(서면 영덕리).

· 2012년 6월 19일 사이클 벨로드럼 경기장 건설.

· 2016년 6월 28일 양양종합운동장 건설.

· 2016년 11월 24일 동해고속도로 개통.

· 2017년 6월 30일 서울양양고속도로 완공 (총 연장 152.4km) · 2019년 3월 1일 양양중고등학교와 양양여자중고등학교 통합하여 각각 양양중학교와 양양고등학교가 됨

· 2023년 6월 28일 동해북부선 철도 착공.

· 2023년 11월 20일 오색케이블카 설치사업 착공.